오늘 소개해 드리는 테마여행 6번째 동국사(東國寺)는 우리나라 개화기와 근현대사의
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써 식민지배의 아픔을 확인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다.
동국사(東國寺)는 한일병합 1년 전 1909년 6월 일본 조동종 승려 우찌다(內田佛觀) 스님이 일조통(一條通)에서
금강선사(錦江禪寺)란 이름으로 포교소로 개창하고, 1913년에 현 위치로 옮겨와 대웅전과 요사를 신축하였다.
1945년 해방을 맞아 정부로 이관되었다가 1955년 불교 전북 교당에서 인수하고 당시 전북 종무원장 김남곡(1913~1983)
스님께서 동국사로 개명하고, 1970년 대한불교조계종 24 교구 선운사에 증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.
이 건물은 개항 후 일본인과 함께 들어 온 일본 조동종 사찰인 금강사의 불전으로 건립하였으나,
광복 후 조계종 사찰 동국사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.
대웅전과 승려들이 거처하는 요사채는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, 지붕 물매는 급경사를 이루며, 건물 외벽에 미서기 문이
설치되어 있는 등 일본 사찰 건축양식을 따랐다. 법당 내부가 일부 변형되었지만 대체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.
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 정방형 단층팔자지붕 홀 처마 형식의 에도시대(江戶時代) 건축양식으로
외관이 화려하지 않으며 소박한 느낌을 주며 용마루는 일직선으로 전통한옥과는 대조를 이룬다.
군산 동국사의 소조석가여래삼존상은 석가여래와 제자인 가섭과 아난존자로 구성된 삼존이다.
150cm가 넘는 대형상으로는 유일한 아난과 가섭을 협시로 한 석가여래 삼존이며, 이 불상들에서 나온 전적 물이나
복장물의 기록에서 삼존상이 전라도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이름이 알려진 조각승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.
조선시대 불상 양식이 형식적으로 흐르기 전 단계의 소조불상으로도 매우 중요하며, 세 불상에서
나온 복장물들은 후령통(喉鈴桶)의 제작기법, 내용물, 재질 등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.
국내에 현존하는 유일의 일본식 종각으로 범종은 1919년 교토(京都)에서 고교재치랑(高橋才治郞)이 제작.
범종에는 창건주 및 개산, 시주자, 축원문과 창건 당시 금강사 내력이 음각되어 있다.
절 뒤쪽으로는 대숲이 있네요.
.
테마여행08_근대역사박물관01 (0) | 2020.08.20 |
---|---|
테마여행07_히로쓰주택 (0) | 2020.08.19 |
테마여행05_진포해양테마공원 (0) | 2020.08.17 |
공원의 오후 (0) | 2020.08.14 |
테마여행04_빈해원(濱海圓) (0) | 2020.08.13 |